목록메모 (6)
미국산 귤

너무 어려워서 직접 정리해보는 깃허브 협업 방법 정리..!! 1. 안전한 작업을 위해 원본 저장소를 포크해야 한다.포크는 쉽게 말해 복사이다. 저장소를 통째로 복사하는 것이다.원본 저장소(레포지토리)에 들어가 우측에 있는 Fork 클릭 2. 포크할 위치로 Owner(자기 프로필 혹은 조직) 선택 후 Create Fork 클릭 3. 우측 메뉴 열어서 Your repositories 클릭 4. 포크가 정상적으로 됐다면, 이곳에 원본 저장소와 똑같은 레포가 하나 생겼을 것이다. 이제 본격적으로 코드 관리하기!협업에 앞서 공통적인 틀을 메인 브랜치에 올려두고 각자 포크 후, 클론 받아서 그곳에 코드 작업을 하라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5. 클론은 그냥 원래 하던대로 똑같이 해주면 된다. 다..

학교 행사로 한창 사이트 개발을 하고 있다.프론트는 리액트, 백엔드는 장고로 개발을 하고 있는데 배포 이후에는 수정이 어려워서 모바일로도 화면이 잘 보이는지 꼭 확인해야 한다. 프론트 화면만 보려면 그냥 cmd에서 ip주소 보고 휴대폰에 입력하면 로컬로 확인할 수 있다.그러나 백엔드 서버와 연동하는 코드가 들어간 페이지는 서버가 실행되어 있지 않으면 확인할 수가 없다. 모바일로 서버를 돌리는 방법이 있을까 불티나게 구글링을 했고,한 3~4번의 에러를 거쳐 모바일에서 장고 서버 열기에 성공했다. 나중에 까먹지 않기 위해서 기록을 하려고 한다. 1. 일단 ngrok 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후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ngrok 파일을 다운받는다.나는 Windows 64bit를 기준으로 포스팅하겠다...

코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모든 글자의 크기가 일정하고, o/O/0처럼 비슷한 문자들을 잘 구분시켜주는 프로그래밍용 폰트들이 여럿 존재합니다이클립스 기본 폰트는 진짜 가독성이 극혐이기 때문에 새로운 폰트 적용하시길 강추드립니당저는 네이버가 2017년부터 배포하고 있는 d2coding 폰트를 이용하고 있는데요오늘은 이 d2coding 폰트 설치 및 이클립스에서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아래 깃허브 링크로 들어가서https://github.com/naver/d2codingfont/releases Releases · naver/d2codingfontD2 Coding 글꼴. Contribute to naver/d2codingfon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
*이클립스 기준ctrl + F11 : 실행ctrl + shift + F : Format Documentctrl + space : 어휘 자동완성한 줄 주석 처리Ctrl + /한 줄 주석 해제Ctrl + /블록 주석 처리Ctrl + Shift + /블록 주석 해제Ctrl + Shift + \
자꾸 까먹어서 정리... ctrl + K + C : 선택 부분 주석처리ctrl + A : 전체 선택ctrl + / : 줄 주석처리shift + alt + ↓ : 현재 줄 복사ctrl + X : 현재 줄 삭제ctrl + L : 현재 줄 선택ctrl + enter : 다음줄로 빠져나가기ctrl + D : 같은 단어 한 개 선택ctrl + shift + L : 같은 단어 전체 선택 Git Bash$npm install styled-components : styled-components 설치$npm install react-router-dom : router 설치ctrl + C : react 프로젝트 서버 중지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란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이다.이 변수의 이름은 그 기능을 포함하면서 상황에 알맞은 방법으로 통일성 있게 지어야 한다. 크게 네이밍 문법으로는카멜케이스(camelCase)스네이크케이스(snake_case)이렇게 두 가지가 있다. 1. 카멜케이스(camelCase)- 단어가 합쳐진 부분마다 맨 처음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는 방법- 두 개 이상의 단어가 모인 합성어에서 사용 같은 카멜케이스 내에서도 방법이 2가지로 나뉜다. ① lowerCamelCase (가장 많이 사용)- 맨 앞글자를 소문자로 표기하는 방법- 나머지 뒤에 따라붙는 단어들의 맨 앞글자는 모두 대문자로 표기 ② UpperCamelCase (=PascalCase)- 맨 앞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는 방법- 나머지 뒤에..